Hanna Lee
  • Home
  • Portfolio
  • About
    • Biography
    • Client
    • History
  • Contact

< 21세기 회화 >, 하이트 컬렉션  
< 21st Century Paintings >, Hite Collection
2021. 10. 16 – 12. 5
​
참여작가: 강사이, 김기정, 김민수, 노예주, 손효정, 이서윤, 이한나, 임창곤, 정수정, 정이지, 조휘경
기획: 이성휘, 신지현
디자인: 트리샤 킴, 머터리얼즈

Photo: Eun Chun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Sample
  • ₩120,000

You can change this text

  • Review 3
  • Ratings 4.8
하이트컬렉션은 2021년 젊은작가전으로 《21세기 회화》를 개최한다. 참여작가는 강사이, 김기정, 김민수, 노예주, 손효정, 이서윤, 이한나, 임창곤, 정수정, 정이지, 조휘경(이상 11명)이다. 이 전시는 참여작가 11명의 작업을 통해 오래된 매체인 회화를 과거 또는 현재완료가 아닌 미래완료의 시점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작가들은 회화를 읽어온 관습에 질문을 던지며 이로부터 자유로운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전통과 닿아 있으면서도 새로운 전거를 만들고자 하는 한편, 예술을 통한 사회적 실천과 삶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한다. 자유롭고 유연한 작가들의 시도는 회화의 미래를 가리킨다. 이들이 향하는 회화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되돌아본 미래”*
 
하이트컬렉션의 젊은작가전은 해마다 조금씩 다른 컨셉트로 접근하면서 작품 활동이 기대되는 젊은 작가들을 소개하고자 노력해왔다. 2015년에는 매체를 회화로만 한정하여 13명의 젊은 작가들이 참여한 《두렵지만 황홀한》을 개최하였는데, 그로부터 6년이 지나 이번에 다시 회화 장르로 한정하여 《21세기 회화》를 선보인다. 6년 전 전시가 중견 화가들의 추천에 의해 선정된 작가들을 통해 향후 회화씬을 풍성하게 할 작가들의 면면을 살펴보고자 했다면, 이번 전시는 새로운 작가들의 작업을 조망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래서 지금 회화는, 이들이 주도할 회화는 어디로 가는 걸까에 대한 고민도 담겨 있다. 그간 하이트컬렉션은 《두렵지만 황홀한》 외에도 여러 차례 회화 전시를 기획한 바 있고, 전시마다 회화에 대한 소소한 고민을 담아 왔다. 10년이라는 시차를 둔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연결을 살핀 적도 있고(《트윈 픽스》, 2016), 캔버스 표면의 물성과 물질적 감각을 우선하며 붐을 형성한 일련의 작업들을 추상이라는 단어로 일괄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전시도 개최하였다(《올오버》, 2018). 회화 전시를 거듭하다보니 기획자의 입장에서는 새 전시를 기획할 때마다 회화에 대한 더 많은 공부와 성찰, 그리고 넓은 시야와 예민한 감각을 보여야 한다는 부담을 갖게 된다. 무엇보다도 ‘새로움’에 대해 스스로에게 지우는 부담감이 크다. 올해는 전시 구상 초반부터 ‘21세기 회화’를 가제로 정했는데, 여느 때보다도 이번에는 과거, 현재보다 미래의 어떤 시점에 있는 회화를 상상해 보고 싶었다. 예컨대, 2022년의 회화 또는 2030년의 회화, 더 나아가 2050년의 회화 등. 그러나 그 미래의 회화는 의지에 의해 이뤄지는 미래라기 보다는 시간이 흘러야만 확인될 수 있는 미래완료의 회화라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다만 그 막연한 시간 위로 회화를 떠밀어 버릴 의지를 갖고 있다. 그 의지를 전시제목 《21세기 회화》에 담았고 항해를 시작하는 11명의 작가들에게 부디 미래에 잘 도착하라는 마음을 보탠다. 올해 기획자 2인은 예년과 다르게 기성 작가들에게 추천을 의뢰하지 않고 젊은 작가들을 직접 찾고 선택하였는데, 미술 현장에 덜 길들여진 사람을 찾고 싶었다. 또 당장은 자신과 자기 주변에게 질문을 던지지만 그것이 장차 회화에 대한 질문이 될 것 같은 이를 찾으려 했다. 무엇보다도 20세기가 아닌 21세기를 사랑하고 원망하고 갈구하는 이를 찾길 바랐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이십 몇 년 전 현대미술에 문외한이었던 나를 그 문턱으로 끌고 갔던 로버트 휴즈의 저서 『새로움의 충격(The Shock of the New)』(최기득 역, 미진사, 1991)이 생각났다. 휴즈는 뉴욕타임즈 저널리스트라는 명성만큼이나 현란한 글솜씨로 100여 년간의 모더니즘 미술사를 기술하였고, 밑줄 쳐가며 정독했던 나는 그토록 신랄한 언변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현대미술에 대해 열망을 갖게 되었다. 그 현대가 모던인지 포스트모던인지 컨템포러리인지 언젠가는 머리 아프게 따져들어야 하는지도 모르고, ‘새로운(new)’의 동의어로만 생각한 채 설레었다. 휴즈는 아방가르드 정신을 상실한 20세기 후반의 미술에 대해서 부정적이었다. 20세기 미술이 고고학적인 차원으로 밀려나버렸다고까지 하였다.(휴즈, p.372.) 그의 말처럼 20세기 미술을 고고학으로 밀어버린다면, 새로운 지층에서 21세기 미술은, 특히 회화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벌써 21세기를 달리는 우리는 이 회화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휴즈는 회화의 소임을 이렇게 강조하였다: “회화의 본질적인 소임은 완전하지 않은 사물세계를 완전하다고 가정하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혼란스런 세계의 모습에 대치될 수 있는 완전한 세계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일을 본분으로 삼는다.”(휴즈, p.390.) 이 말은 회화에 다시 한번 아방가르드 정신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21세기 회화가 무엇에도 미련 갖지 않을 것을 바란다. 그것이 설사 아방가르드라고 하더라도 미련 갖지 않을 것. 또 굳건한 낭만, 굳건한 자본, 굳건한 벽을 믿지 말 것. 21세기 회화는 그렇게 시작되고 있는 것이길 바란다. ■ 이성휘
 
*로버트 휴즈, 『새로움의 충격』의 마지막 챕터 제목에서 인용하였음을 밝힌다. 
 
“사랑하는 것을 사랑하며 내일로”*
 
‘21세기’라는 거대한 단어에 대한 이해는 제각각일 것이다. 《21세기 회화》를 통해 나는 가려져 왔던 것, 그러나 분명히 존재했던 목소리가 바야흐로 들리는 시대를 21세기로 바라보고자 한다.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대로를 이해하고, 지금 내가 손에 쥐고 있는 것을 긍정할 수 있는 시대. 그래도 되는 시대를 21세기라고 한다면, 《21세기 회화》는 21세기가 출발한 지 21년이 흐른 오늘, 여전히 회화를 앞에 두고 고민하고 질문하고 도전하고 변화하는 참여작가 11명의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감히 회화의 미래를 상상해보려는 시도이다. 11명의 작가들이 지속하고 있는 저마다의 작업을 각자의 위치에서 맴도는 위성이라 한다면, 그것은 감각적이고 관념적이며 때때로 개념적이고 즉흥적이다. 동시에 사회적이고도 개인적이기도 하다. 이 하나로 수렴하지 않는 다양성은 전시를 가로지르는 힘이 되어 ‘21세기’라는 거대한 단어를 설명하는 축이 된다. 거대서사 아래 어떤 방식으로든 가려져 존재해온 소서사를 수면위로 끄집어 올리는 시도는 변화의 시작점이다. 변화의 시작점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아는 것, 고전적 양태로 존재하기being라기 보다는 오히려 결국 우리가 변화를 어떻게 재현하고 무엇이 되기를 원하는지 알아 차리는 것이다.(로지 브라이도티, 『변신:되기의 유물론을 향해』, 꿈꾼문고, 2020, 19쪽) 여기 11명의 작가는 되기being의 ‘과정’ 위에 있다. 이제 무엇이 될 것인가 스스로 선택할 일만 남았을 뿐이다. 
 
한편 20세기 미술사를 견인해온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지나 2021년 지금도 여전히 작가들로 하여금 회화라는 이 전통적 매체를 붙잡게 하는 힘은 과연 무엇인가? 자국을 남기고, 비추어 보기도 하고 새겨도 보는 세상의 모든 움직임이 그림의 시작이었다면 그것은 항상 변화하는 성질이기에 여전히 지속되는 것 역시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우리는 미래를 알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22세기에도 23세기에도 그림은 존재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것을 만드는 방식은 바뀔지라도 말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회화는 자연스럽고도 여전하게 세상을 ‘비추고, 새기고, 남기며’ 그 모습을 끊임없이 변화해 나갈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시점에서, 이들의 작업이 ‘회화적’으로 보인다면 그 또한 변화하고 있는 회화의 한 모습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것이 과거의 얼굴을 하고 있든, 전혀 다른 새로운 포즈로 서 있든 말이다. 이들은 모습mode 보단 분위기mood가 중요하다.(위의 책, 19쪽) 그것은 변화의 가능성을 잉태한 상태로서 존재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현대미술을 바라보며 머릿속으로 고대 선사시대 석상을 떠올린다 해도, 그 또한 마땅한 일일 수 있겠다. 이 전시는 회화에 대한 전시라기보다는 회화적인 것에 대한 전시이다. ■ 신지현
 
*이 글의 제목은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유선애, 한겨레출판, 2021) 프롤로그에서 인용하였음을 밝힌다.